아이디어가 넘치는 분들 중에는 분명 시도 때도 없이 ‘발산’은 잘 하는데 ‘수렴’은 잘 못하는 분들도 많아요. 아이디어를 이것저것 내기만 할 뿐, 차곡차곡 정리하고 선별하는 데에는 익숙하지 않은 거죠. 그토록 좋은 아이디어가 많은데도 실제 구현하는 단계까지는 나아가지 못하니 참 아쉬운 일이에요.
뜨거운 발산의 과정을 마치면 마땅히 차가운 수렴의 과정도 겪어야 해요. 열심히 생각해낸 아이디어들은 마치 내 자식과도 같은 기분이라 하나도 버리기 싫죠. 떡잎부터 섣불리 ‘안될 놈’이라며 베어내도 안 되지만, 현실적으로 모든 아이디어를 다 구현할 수는 없으니 결국 ‘될 놈’을 잘 선별해서 자원을 투입해야겠죠. 아이디어 중 '될 놈'을 골라낼 때 주의해야 할 점이 세 가지 있어요.
1️⃣ 발산이 충분히 되기 전까지는 수렴에 착수하지 말아요
돌연변이의 생존률이 얼마인지 아세요? 단 5%!
즉, 100종류의 돌연변이 중 살아남는 것은 겨우 5종류 뿐이죠. 이를 아이디어에 적용해보면? 적어도 100개는 발산해야 5개 정도가 최종 구현된다는 뜻이에요.
선택지가 얼마 없는데 억지로 "이쯤 되겠지" "그냥 있는 것 중에서 골라야지"라며 성급하게 선별하려고 하면, 최종 산출된 아이디어의 생존 가능성도 작아질 수밖에 없어요. 그러니 아이디어가 너무 적다면 발산부터 더 하고 와야 해요.
2️⃣ 객관적 기준과 동료들의 피드백을 거쳐 선별해요
자신이 열심히 낸 아이디어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기는 어렵죠. 그래서 아이디어의 활용 목적에 맞게 명확한 선별 기준부터 세우고, 동료들의 피드백을 받아 걸러내야 해요.
3️⃣ 탈락한 아이디어에게도 패자부활전의 기회를 줘요
밤새 정성껏 쓴 연애편지를 아침에 일어나서 다시 보면 ‘이불킥’ 각인 것처럼, 열심히 낸 아이디어도 나중에 보면 죄다 마음에 안 들 때가 있어요. 마치 도자기 장인이라도 된 듯 작은 흠집만 보여도 아이디어를 치워 버리고 싶을 때도 있어요.
하지만 그런 아이디어조차 쉽게 버리면 안 돼요. 다른 아이디어를 정교화하는 과정에서 마음에 안 드는 아이디어가 좋은 재료로 쓰일 수도 있거든요. 그래서 선별 기준에 미달하는 아이디어를 엄격히 쳐내되, 아예 지워버리지는 마세요. 아이디어가 최종적으로 구현될 때까지 이들은 목록 한구석에서 패자부활전을 대기하도록 놔두세요. Killer Thinking Club
아이디어가 넘치는 분들 중에는 분명 시도 때도 없이 ‘발산’은 잘 하는데 ‘수렴’은 잘 못하는 분들도 많아요. 아이디어를 이것저것 내기만 할 뿐, 차곡차곡 정리하고 선별하는 데에는 익숙하지 않은 거죠. 그토록 좋은 아이디어가 많은데도 실제 구현하는 단계까지는 나아가지 못하니 참 아쉬운 일이에요.
뜨거운 발산의 과정을 마치면 마땅히 차가운 수렴의 과정도 겪어야 해요. 열심히 생각해낸 아이디어들은 마치 내 자식과도 같은 기분이라 하나도 버리기 싫죠. 떡잎부터 섣불리 ‘안될 놈’이라며 베어내도 안 되지만, 현실적으로 모든 아이디어를 다 구현할 수는 없으니 결국 ‘될 놈’을 잘 선별해서 자원을 투입해야겠죠. 아이디어 중 '될 놈'을 골라낼 때 주의해야 할 점이 세 가지 있어요.
1️⃣ 발산이 충분히 되기 전까지는 수렴에 착수하지 말아요
돌연변이의 생존률이 얼마인지 아세요? 단 5%!
즉, 100종류의 돌연변이 중 살아남는 것은 겨우 5종류 뿐이죠. 이를 아이디어에 적용해보면? 적어도 100개는 발산해야 5개 정도가 최종 구현된다는 뜻이에요.
선택지가 얼마 없는데 억지로 "이쯤 되겠지" "그냥 있는 것 중에서 골라야지"라며 성급하게 선별하려고 하면, 최종 산출된 아이디어의 생존 가능성도 작아질 수밖에 없어요. 그러니 아이디어가 너무 적다면 발산부터 더 하고 와야 해요.
2️⃣ 객관적 기준과 동료들의 피드백을 거쳐 선별해요
자신이 열심히 낸 아이디어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기는 어렵죠. 그래서 아이디어의 활용 목적에 맞게 명확한 선별 기준부터 세우고, 동료들의 피드백을 받아 걸러내야 해요.
3️⃣ 탈락한 아이디어에게도 패자부활전의 기회를 줘요
밤새 정성껏 쓴 연애편지를 아침에 일어나서 다시 보면 ‘이불킥’ 각인 것처럼, 열심히 낸 아이디어도 나중에 보면 죄다 마음에 안 들 때가 있어요. 마치 도자기 장인이라도 된 듯 작은 흠집만 보여도 아이디어를 치워 버리고 싶을 때도 있어요.
하지만 그런 아이디어조차 쉽게 버리면 안 돼요. 다른 아이디어를 정교화하는 과정에서 마음에 안 드는 아이디어가 좋은 재료로 쓰일 수도 있거든요. 그래서 선별 기준에 미달하는 아이디어를 엄격히 쳐내되, 아예 지워버리지는 마세요. 아이디어가 최종적으로 구현될 때까지 이들은 목록 한구석에서 패자부활전을 대기하도록 놔두세요. Killer Thinking Club